상생발전위 구성…‘인센티브·패널티’ 수위 설정
45곳 중 34곳 확정…문화원 등 ‘불협화음’ 여전
시는 이달 중 상생발전위원회를 구성하고, 현재 통합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옛 청주·청원 중복 민간단체에 대한 인센티브와 패널티의 기본방향을 설정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시는 통합의 성공적 안착과 주민화합을 위해 옛 청주·청원의 동일한 2개 이상 민간사회단체를 하나로 자율 통합하도록 유도했으나 일부 중복단체들은 ‘지지부진’한 걸음을 계속하자 이 같은 결정을 내리고 통합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시는 보조금 지원 중단, 보조금 규모 축소와 함께 현재 민간단체들이 무상사용하고 있는 공유재산의 불허 등 인센티브와 패널티 수위가 상생발전위에서 결정되면 강도 높게 적용할 계획이다.
통합 단체에는 올 하반기 예산을 전액 지원하되 미통합 단체에는 통합 기본방향이 설정되기 전인 이달까지 최소 경비만 지원키로 했다. 앞서 옛 청주시와 청원군은 민간단체 자율통합을 위해 민간사회단체 보조금을 상반기 분만 집행했다.
현재 옛 양 시군에서 보조금을 받던 45개 중복 단체 가운데 34개 단체가 통합에 합의했다. 그러나 여성단체협의회와 문화원, 재향군인회, 사회복지협의회, 이·통장협의회, 장애인단체연합회, 여성단체협의회, 대한어머니회, 개인택시지부, 농업인단체협의회, 여성농업인연합회, 농업경영인연합회 등 11개 단체는 내부조율 등의 문제로 불협화음을 계속하고 있다.
이 가운데 여성단체협의회, 여성농업인연합회, 농업경영인연합회, 재향군인회는 통합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나머지는 통합에 미온적인 태도를 이어가고 있다.
옛 양 시군 문화원은 도·농 문화적 차이와 지방문화원진흥법을 내세우며 독자운영을 고집하고 있다. 또 회장 선임문제 등 단체 간 상호 이해관계를 들어 통합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인회의 경우에는 오히려 경기도 등의 사례를 들며, 통합이 아닌 ‘4개 구별 지회 설치’를 요구하는 모양새다. 자유총연맹 등은 임명권이 권한 밖이라는 이유 등을 들어 통합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으며, 이·통장 협의회도 회원자격 등에 양 시군이 이견을 보이며 통합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이전에도 자율통합에 부정적인 단체들에게 보조금 등 지원 중단 의사를 보냈지만 일부 민간단체들의 반응은 예전과 같다”면서 “중복 민간사회단체가 하나로 뭉쳐야 옛 시군 주민의 화학적 융합 등 통합 시너지 효과가 배가될 것으로 보고 적극 통합을 유도하겠다”고 전했다.
<이도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