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3060억원 확보관건… 지자체 도움 절실
원활한 분원 운영위해 충북대 의대정원 확대
지역의료자원 투입여건 조성 시스템 마련해야

 

[동양일보 조석준 기자]충북대병원이 충주충북대병원(이하 충주분원) 건립사업을 다시 추진한다. 앞서 2017년 9월 충주시-충북대병원은 충주분원 건립과 북부지역 의료환경 개선, 응급의료체계 구축 등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분원건립에 나섰지만 재정문제 등으로 보류돼 왔다.

충북대병원은 지난 25일 열린 197차 이사회에서 충주분원 건립사업 추진계획(안)’을 의결, 예비타당성조사 후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충주분원은 충주시가 176억원 상당의 대소원면 완오리 일원 약 4만9000㎡ 부지를 무상제공하고, 건축비 2482억원 등 총사업비 4080억원을 투입해 지하 1층~지상 12층, 500병상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며 사업기간은 6년이다.

충주를 비롯한 충북 북부지역은 충북도내 대표적 의료취약지로 꼽히고 있으며, 공공의료자원 불균형 현상이 지속·심화되고 있어 미충족의료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충주분원 설립이 반드시 필요한 상태다.

충주분원 건립타당성 조사 최종보고서의 충북지역 의료 미충족 현황에 따르면 △충주시 14.2 △제천시 11.2 △단양군 11.0 △음성군 10.9 △보은군 10.1 △증평군 7.6 △영동군 7.2 △진천군 6.9 △청주시 6.8 △ 옥천군 4.0 순으로 도내 11개 시·군 중 충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민들의 88.2%가 대학병원의 유치를 원하고 있으며, 건립이후 이용의향도 89.1%로 높게 나타났다.

2016년 발표된 서울대병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병원이 없는 지역은 대학병원이 있는 지역보다 전체 입원환자 사망률 1.3배, 중증질환사망률 1.9배, 주요 수술환자 사망률은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권역내 500병상의 종합병원이 20% 이상인 지역은 사망비율이 1.025인 반면 500병상 이상의 병원이 없는 곳은 1.235로 사망률이 20%나 높았다.

충주시가 병원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했지만, 총사업비 4080억원 중 국고지원은 교육부 출연금 지원기준 하향으로 인해 25%(1020억원)에 불과해 나머지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사실 분당서울대병원은 건립당시 총사업비 3100억원 중 정부 지원이 70%(서울대병원 자체부담 30%) 수준이었다. 또 강원대병원 분원의 경우 삼척시에서 1000억원대의 지원금을 제시했지만, 큰 적자와 의료인력수급의 어려움으로 추진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충주분원 설립을 위해선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충북대병원은 2025년 개원 예정인 진천음성혁신도시 국립소방병원의 경우 충북도 50억원, 진천군 40억원, 음성군은 110억원의 재정지원을 약속한 사례처럼 주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물론 예산도 중요하지만 충주분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선 49명에 불과한 충북대 의과대학의 정원 확대가 필수적”이라며 “충주지역 의과대학 졸업생들이 지역에서 수련 받고, 지역의 의료자원으로 투입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충북 북부지역에선 지역주민들이 강원도 원주기독병원과 서울의 대형 종합병원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등 큰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주분원이 건립되면 북부지역 급성기·중증질환자가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지역내 전문의료인력 양성과 1000여명에 이르는 고용창출을 통해 충주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석준 기자 yohan@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