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한동수 교수팀 '스텔라트레인' 개발

[동양일보 정래수 기자]고가의 데이터센터급 그래픽처리장치(GPU)나 고속 네트워크 없이도 인공지능(AI) 모델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자원이 제한된 기업이나 연구자들이 AI 연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고성능 칩 없이도 AI 모델 학습 속도를 최대 100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현재 AI 모델 학습을 위해서는 개당 수천만원에 달하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인 'H100' 여러 개와 이를 연결하기 위해 400Gbps(초당 기가비트)급 고속 네트워크를 갖춘 인프라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소수의 거대 IT 기업을 제외한 대부분 기업이나 연구자들은 활용하기 쉽지 않다.

한동수 교수 연구팀은 H100 가격의 10분의 1에 불과한 소비자용 GPU를 활용해 고속 전용 네트워크의 수백∼수천분의 1 수준의 저대역폭에서도 효율적인 분산 학습이 가능한 프레임워크 '스텔라트레인'(StellaTrain)을 개발했다.

학습을 작업 단계별로 나눠 CPU와 GPU가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네트워크 속도에 맞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전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고속 네트워크 없이도 여러 대의 저가 GPU로 빠른 학습을 가능하게 했다.

스텔라트레인 기술을 사용하면 기존 데이터 병렬 학습에 비해 최대 104배 빠른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한동수 교수는 "대규모 AI 모델 학습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저비용 환경에서도 대규모 AI 모델을 학습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기자 raesu197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