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완전 마비 장애인 위한 웨어러블 로봇 공개
[동양일보 정래수 기자]국내 연구진이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을 위해 휠체어에서 내릴 필요 없이 로봇이 직접 걸어와서 타인의 도움이 없어도 스스로 착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신형 웨어러블(착용형) 로봇을 공개했다. 마치 영화 주인공 아이언맨이 착용한 수트처럼 스스로 움직이는 이 로봇은 공경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 F1(WalkON Suit F1)'다.
KAIST는 24일 대전 대덕구 신일동 엔젤로보틱스에서 웨어러블 로봇의 새로운 버전 '워크 온 슈트 F1'을 공개했다.
워크 온 슈트 F1은 KAIST 공 교수 연구팀이 2015년부터 연구해온 하반신 마비 장애인용 웨어러블 로봇이다. 척수손상의 정도가 완전 마비 등급(ASIA-A) 수준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팀은 2016년 워크 온 슈트 1 버전 개발 이후 2020년 4 버전을 발표하면서 보행 속도를 비장애인 수준인 시속 3.2㎞까지 달성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로봇들은 여타 웨어러블 로봇들처럼 다른 사람의 도움이 있어야 착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워크 온 슈트 F1은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도 타인의 도움 없이 로봇을 착용할 수 있도록 전면 착용 방식으로 설계됐다. 로봇이 휴머노이드처럼 스스로 걸어와 사용자에게 안겨 착용되는 방식이다.
무게 중심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착용자가 잘못해서 밀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도 구현됐다.
워크 온 슈트 F1은 보행 보조 능력도 뛰어나다. 일단 이 로봇을 몸에 착용한 뒤 일어나면 직립 보행을 할 수 있고, 지팡이를 짚지 않아도 짧은 거리라면 걸을 수 있을 정도로 균형 능력도 좋다.
연구진은 이달 27일 열리는 3회 사이배슬론 경기에 출전해 워크온슈트 F1의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사이배슬론은 장애인 보조 로봇 개발을 위한 대회로, 장애인이 직접 웨어러블 로봇을 입고 걷거나 계단을 오르는 등의 경주를 한다.
공 교수는 “웨어러블 로봇은 장애인이나 노인들을 위한 신체 보조기기이면서 동시에 신체에서 많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치”라며 “향후 휴머노이드 등 다양한 로봇의 동작을 발전시키는 중간자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기자 raesu1971@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