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수출 비상 대응 전략회의
통상TF 통해 피해기업 지속 모니터링

▲ 김영환 충북지사가 21일 도내 8개 경제기관·단체장들과 미국과 상호관세 부과 등에 따른 수출 비상 대응 전략회의를 하고 있다.<충북도 제공>

충북도가 미국발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면서 도내 지역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도는 21일 청주상공회의소 등 도내 8개 경제기관·단체장들과 미국과 상호관세 부과 등에 따른 수출 비상 대응 전략회의를 열었다. 지난 2월 미 관세 대응 충북통상 TF회의에 이은 후속 조치 성격의 회의다.
김영환 지사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지난주 충북대표단을 이끌고 미국을 다녀온 후 현지 상황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각 기관별 현황과 애로사항을 들었다.
대표단은 지난 14일부터 4박 7일간 보스턴과 애틀랜타를 찾아 세계 한인경제인과 미 주정부를 상대로 세일즈 외교를 펼쳤다.
바이오 생태계의 중심지인 보스턴 켄달스퀘어 내 랩센트럴(LabCentral)과 CIC(Cambridge Innovation Center)를 방문해 혁신창업지원 시스템 및 연구 인프라를 벤치마킹했다.
도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25% 부과를 90일 유예했지만, 유예 이후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 대한 지역 수출 관련 기관·단체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는 상태다.
특히 충북은 SK하이닉스와 LG에너지솔루션 납품기업이 많아 긴장감이 높다.
도는 미 관세정책 대응을 위해 지역 12개 수출통상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3개반 통상 TF(태스크포스)를 운영한다.
충북 수출기업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시로 피해기업 실태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2200개사에 무역보험 가입을 지원하기로 했다. 개별전시회와 사절단을 활용해 수출시장 다변화도 모색한다.
특히 상호관세 피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500억원 규모의 경영안정자금을 편성해 지원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도내 기업들이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인력·자금 등 지원 정책을 추진한다”며 “기업 애로사항도 수시로 파악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글로벌 복합위기에 대한 전략적 대응은 물론 ‘오송 K-바이오스퀘어 조성’ 등 주요 도정 과제를 신속하고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