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15.6~16.6도)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평년 (8.4~23.8㎜)과 비슷하겠다.
■벼
△못자리 관리
지역별 적기 파종, 적정 물관리 및 온도 유지, 백화묘 및 들뜬모 사전 예방 및 조치
△모내기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에 모내기하여 수량 확보 및 미질 향상 도모
△거름 주기
질소질 비료의 과잉은 쌀 품질 저하의 원인이므로 적정 시비 실시
△잡초방제
모내기 전·후 두 차례 방제하고 처리 후 3~5㎝ 깊이로 5일 이상 담수
■밭작물
△고구마
고온기 환기 및 야간 보온 등 육묘 관리, 비닐멀칭 재배(5월 상∼6월 하)
△콩
적기 파종, 논 콩 배수구 설치, 파종 후 제초제 처리
△참깨
적용약제 이용 종자 소독, 비닐피복 및 지역별 적기파종
△조
종자 선별을 위한 염수선 및 전용약제 이용 소독 실시
△수수
적기 파종, 모가 10~15㎝ 자랐을 때 옮겨 심음
■채소
△노지고추
정식 포장 준비, 정식 전 묘 관리, 아주심기는 마지막 서리가 온 이후 맑은 날 실시, 묘상에 심겨져 있던 깊이로 심어줌
△마늘・양파
구비대기 물주기, 노균병・잎마름병 방제 실시
△배추‧무
고랭지 배추 육묘 관리, 봄배추 적기수확, 무 웃거름 아주심기 후 2회 실시
■과수
△관수관리
세포분열기(세포수 증가, 신초생장, 꽃눈분화 등) 물관리 철저(1~2시간 관수하고 일정시간 멈추었다가 다시 관수、사질토 여러번)
△우박피해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 살균제 살포하여 2차 감염 방지
△열매솎기
사과는 만개 2주 후부터 시작하여 6월 상순 이전 마무리, 배는 생리적 낙과 지나고 착과 안정되면 실시, 복숭아는 예비·본 열매솎기 실시
■화훼
△카네이션
삽목 후 6마디 정도 자라면 1차 적심하고 4∼5분지가 되게 하며 2차 적심은 1차 적심 후 한 달이 지난 시점에 실시
■특작
△인삼
온도가 높아지면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 필요, 복합적인 이유로 나타나는 생리장해는 토양 검정 후 적절한 조치 취해줌
△약용작물
오미자는 개화기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지황은 본잎이 4~5매가 되면 꽃대가 나오므로 가급적 꽃대를 빨리 잘라줌
■축산
△AI‧구제역·ASF
농장·근로자 소독 생활화, 구제역 백신접종 등 차단 방역 철저
△가축관리
환절기 축사환기 및 청결관리, 하계사료작물 파종 및 재배관리
△동계작물수확
청보리 수확 적기는 호숙기에서 황숙기 사이로 적기 수확 함
■양봉
△유밀기 벌무리 벌집 배열
꿀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빈 벌집과 덧통을 활용
△분봉열 예방
분봉열 발생을 예방하여 채밀용 벌무리 관리
△채밀군 편성
채밀군을 편성하고 고품질 꿀을 얻기 위해 정리채밀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