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농기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4.5~26.1도)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15.3~60.6㎜)과 비슷하겠다.
■벼
△후기 논 관리
중생종, 중만생종은 출수 15일 전부터 이삭 팬 후 10일까지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 실시
△병해충 방제
고온 환경으로 잎집무늬마름병, 키다리병, 이삭도열병, 노린재류, 멸구류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기 방제 실시.
■밭작물
△콩
콩 잎줄기마름병, 노린재 등 병충해 방제, 과번무 개체 측면 순지르기
△땅콩
가뭄 시 관수 필요, 갈색무늬병 발생 시 즉시 적용약제 살포 실시
△고구마
일조 부족 또는 지상부 웃자란 경우 칼리질 비료를 엽면시비 해줌
△참깨
1모작(5월 파종)은 적기 수확, 2모작(6월 파종)은 순지르기 실시
△가을메밀
남부와 제주지역 적기 파종
■채소
△고추
도복된 고추는 신속히 일으켜 세우고, 북지기를 실시해 뿌리 노출 방지
△고랭지 배추·무
노균병·무름병·뿌리마름병 등 방제 철저
△시설채소
침수 피해가 심하거나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해 전염원 차단
■과수
△집중호우·태풍
쓰러진 나무 지지대 고정, 살균제와 4종복비 엽면살포 실시
△사과 착색관리
웃자람가지 제거. 반사필름 피복, 잎따주기, 과실 돌려주기 등 실시
△탄저병
탄저병이 발생하면 병든 과실은 땅에 묻거나 소각해 2차 전염 차단 실시
■화훼
△시설
태풍 시 집중호우와 바람에 대비해 시설물 관리 철저
△장미
시설 내 온도 30도 이하, 슴도관리 주의, 흰가루병과 노균병 방제 실시
■특작
△인삼
집중호우로 인한 생리장해와 탄저병, 점무늬병 등 병해충 발생이 증가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대비해야 함
△약용작물
8월 하순까지 웃거름을 줘 생육을 촉진, 가을 파종에 대비해 종자나 종묘를 미리 준비함.
△버섯
고온 피해 에방을 위해 온도·환기·습도를 정밀하게 관리해 균이 잘 자라도록 해야 함.
■축산
△폭염대비
물통 등 축사 내부 청결관리, 가축사육기상정보시스템 활용 권장.
△축사화재 예방
축사 내 소화기 비치, 환풍기 등 전기·전선 관리, 보험 가입 등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양봉
△벌무리 관리
급수기 등을 이용한 물 공급은 오염된 물의 유입 방지에 효과
△월동 자격군 양성
벌무리 세력에 따라 매주 1~3회, 1회에 1ℓ 내외 당액 공급 실시.
△병해충 관리
우천 시 봉군 관리, 부저병 발병 초기 처방에 따라 항생제 사용해 처리. 백묵병은 벌통 내를 환기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