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서열화 심각하다 87%, 학력·학벌 차별 심하다 80% 이상

2025년 대학 취학률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대학 서열화가 심각하다는 인식이 87%에 달했고, 학력과 학벌에 따른 차별이 심하다는 응답도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대학 진학을 위한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65%로 높았다. 한국리서치는 학력주의와 사교육에 대한 국민 인식을 담은 '2025 교육인식조사'를 공개했다.
우리나라의 2025년 대학 취학률은 76.3%를 기록했다. 진학률은 고교 졸업생 전체의 진학률을 의미하며 취학률은 해당 학령인구 중 진학률을 말한다.
이번 취학률은 2023년과 2024년(74.9%)보다 높은 역대 최고 수준이다. 남학생 취학률은 74.2%, 여학생 취학률은 78.5%로 모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남녀 간 취학률 격차(4.3%포인트)는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한국의 만 25~34세 청년층 고등교육 이수율은 71%로 OECD 국가 중 1위였으며, OECD 평균(48%)보다 23%포인트나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69%가 우리나라에서 대학에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인식은 2021년 이후 큰 변화 없이 7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학 서열화가 심각하다는 응답은 87%에 달했다. 대학 서열화가 심각하다는 인식은 2021년(86%) 이후 큰 변화 없이 대다수가 동의했다. 세대와 성별, 학력과 관계없이 10명 중 9명 정도가 대학 서열화가 심각하다고 봤다.
학력과 학벌에 따른 차별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10명 중 8명 이상이 학력 및 학벌에 따른 차별이 심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서울 소재 대학과 지방 대학 간 차별이 심하다는 응답이 88%로 가장 높았고, 대졸자와 고졸자 간 차별 82%, 4년제 대학과 2·3년제 대학 간 차별 80% 등이 뒤를 이었다. 고졸 이하 학력자가 대학 재학 이상 응답자보다 모든 항목에서 차별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대학 진학을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데 65%가 동의했다. 사교육이 대학 진학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은 2021년 이후 큰 변화 없이 65%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높았다. 18~29세에서는 76%가, 30대에서는 70%가 사교육 필요성을 인정했다.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실제 행동으로도 이어졌다. 현재 영유아 및 초중고 미성년자 자녀를 둔 학부모 중 49%는 현재 자녀에게 대학 진학을 위한 사교육을 시키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 사교육을 시키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학부모 61%는 향후 자녀에게 대학 진학 위한 사교육을 시킬 것이라고 답했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고소득층에서는 현재 사교육 이용률(62%)과 향후 계획(75%)이 모두 600만원 미만 가구(각각 37%, 49%)보다 높아, 소득에 따른 사교육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학 진학을 위한 사교육의 중요성이 현재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는 사람이 37%였으며, 44%는 현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모두 합하면 81%가 사교육 중요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앞으로 더 높아질 것으로 봤다. 사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라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도 높은 수준인 사교육 필요성이 앞으로도 당분간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한 한국리서치 수석연구원은 "대학이 필요하고 서열화되어 있으며 학벌 차별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사교육은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현실적 대응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소득 수준에 따라 사교육 이용률과 향후 계획에서 큰 격차가 나타나, 학력을 통한 계층 재생산 구조가 강화될 우려가 있다. 교육 정책은 대학 서열화 완화와 학력 차별 해소를 통해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5년 10월13일~15일까지 실시한 웹 조사 결과다. 표본은 지역·성별·연령별 비례할당추출 방식으로 구성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3.1%p다. 자세한 조사 결과는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 속의 여론'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병학 기자 kbh7798@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