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농기원

■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4~4.2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4.1~11.2㎜)과 비슷하겠음.
■ 벼
△볍씨 준비 내년에 사용할 종자는 국립종자원 벼 보급종 종자를 신청.
△토양관리 객토, 유기물 주기, 깊이갈이, 배수개선 등 종합적 개량 관리.
△농기계 관리 사용한 농기계에 대한 철저한 점검·세척·윤활 등 관리 실시.
■ 밭작물
△보리·밀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정비.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 시설재배 채종 품종은 실온보관으로 휴면기간 단축.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도이며, 습도는 85~90%임.
△봄감자 신청 종자신청·사전준비, 기본신청기간: 11.20.~12.26.
■ 채소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양파 심기 늦어진 포장은 부직포 또는 유공비닐 이중피복, 난지형 마늘은 월동 전에 뿌리 활착이 잘 되어야 동해 피해 줄임.
△시설채소 작물별 적온관리 하되, 야간 최저온도는 과채류 12도 이상, 엽채류 8도 이상 유지 관리.
△딸기 당도 향상을 위한 변온관리, 양액 급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 과수
△과원 정비 낙엽·잡초 등 병해충 월동 생육처 제거, 관수시설 물빼기 등.
△과원 관리 수확 후 밑거름 시비, 보온자재 피복, 땅 얼기 전까지 관수.
△저장 저장고 내 온도 0도, 상대습도 90%, 최대적재량 70~80% 유지.
△환기 이산화탄소·에틸렌 가스장해 방지 위해 주기적 환기(1주일에 1~2회, 10분씩).
■ 화훼
△장미 겨울철은 일교차가 큰 시기이므로 낮과 밤의 온도 차가 10도 이상 되지 않게 보온 관리에 유의, 적절한 환경 관리로 생리 장해·병충해 발생 억제.
■ 특작
△인삼 폭설피해 예방 위해 표준 해가림 설치, 월동기에는 차광망을 걷어주는 것이 좋음.
△약용 세척·건조·저장 과정에서 품질 변화 없도록 철저 관리.
△느타리버섯 버섯 개체수·온도 변화에 따라 환기량 조절.
■ 축산
△소 럼피스킨 방역 LSD 백신 접종, 개체별 과민반응(쇼크) 주의.
△양돈농장 방역 수준 평가 위한 자가 점검표 활용(차단 방역).
△화재예방 환절기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전기 시설 안전 점검.
■ 양봉
△월동 환경 관리 월동기간 온도 차이가 많이 나지 않도록 관리, 월동장소 선정 등 환경 맞춤 관리.
△병해충 관리 응애, 꿀벌부채명나방 등 피해 주의.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