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발전위, 통합 때까지 운영비·보조금 집행 중단 의결
미통합 땐 문화 행사·사업·사무실 운영 등 차질 빚을 듯

속보=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옛 청주·청원 문화원 통합에 대해 청주시가 칼을 빼들었다. 당장 내년부터 두 문화원의 사업 추진·운영에 빨간불이 켜졌다.

청주시와 청주상생발전위원회는 통합에 미온적인 옛 시군 양 단체에 내년 운영비를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

청주시 등에 따르면 상생발전위는 3일 흥덕구청에서 가진 첫 전체회의에서 청주·청원문화원 등 미통합 단체에 이처럼 강력한 페널티를 부과하기로 의결했다.

상생발전위는 미통합 단체에 연말까지는 최소한의 운영비만을 지급하고, 특히 내년부터는 보조금 지급 중단은 물론 미통합 단체의 사무실 무상사용 혜택도 제외키로 했다.

옛 시군에서 보조금을 받던 청주시 45개 중복단체 가운데 41개 단체가 통합했거나 통합에 합의했다.

현재 양 시군 문화원과 사회복지협의회, 농업경영인연합회, 개인택시지부가 미통합 단체로 남아있다.

이 가운데 개인택시지부는 15일 오전 단체 통합 협약식을 가질 예정으로 통합이 사실상 결정된 상태다. 사회복지협의회와 농업경영인연합회도 통합 방침을 굳히고 있어 연말까지는 통합에 합의할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이번 상생발전위 결정은 두 문화원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게 됐다.

시는 현재 편성 중인 2015년 예산안에 청주·청원 문화원 통합을 가정한 1개 문화원 운영비만 예산안에 반영키로 했다. ‘통합’ 문화원을 위한 운영비 지원 예산은 만들지만, 실제 통합 의결 때까지 운영비 등을 집행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옛 양 시군은 청주·청원 문화원에 사무국장 인건비와 운영비로 각각 연 5700만원과 4800만원을 자체 예산으로 지원해 왔다. 또 사회단체보조금 등으로 청주문화원이 연 5억5000만원을, 청원문화원은 연 3억원을 각각 받았다. 두 문화원은 이 보조금으로 각종 문화행사 등 사업을 벌였다.

시는 운영비 뿐 아니라 이 같은 보조금 지급도 중단할 계획으로, 두 문화원의 통합이 계속 지연될 경우 내년부터 이들이 주최하던 문화행사 추진에 빨간불이 켜지게 됐다. 무상 사용했던 사무실 운영도 어려운 처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단체 통합을 거부하던 두 문화원은 최근 분위기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옛 시군 문화원은 도·농 문화적 차이와 지방문화원진흥법을 내세우며 독자운영을 고집했었으나 청주문화원은 지난달 말 이사회를 열고 통합 안건을 만장일치 가결하는 등 통합논의를 추진키로 했다. 청원문화원도 최근 내부적으로 통합에 대한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중복 민간사회단체가 하나로 뭉쳐야 옛 시군 주민의 화학적 융합 등 통합 시너지 효과가 배가될 것”이라며 “분리운영 등에 대한 의견도 있으나 이미 통합한 단체와의 형평성 등 문제가 있어 적극 통합을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도근>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